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7

GDPR과 데이터 이전: 적정성 결정과 표준 계약 조항(SCC) 완벽 이해하기 국가 간 데이터 이전을 할 때 GDPR이 요구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적정성 결정(Adequacy Decision)과 표준 계약 조항(SCC)의 의미, 차이점,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 GDPR과 국가 간 데이터 이전: 기본 원칙GDPR(일반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를 유럽연합(EU) 밖으로 전송하는 경우 특별한 기준을 요구합니다. 기본 원칙은 매우 간단합니다. "EU 거주자의 개인정보를 전송하려면, 해당 개인정보가 동일한 수준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GDPR은 크게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적정성 결정(Adequacy Decision)을 통한 자유로운 전송- 표준 계약 조항(SCC)이나 구속적 기업 규칙(BCR) 같은 안전장치 마련- 예외적 상.. 2025. 4. 28.
국가 간 데이터 이전이란 무엇일까? 기본 개념부터 쉽게 정리 글로벌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국가 간 데이터 이전 이슈를 피할 수 없습니다. 본 글에서는 국가 간 데이터 이전의 의미, 왜 중요한지, GDPR 같은 주요 법률에서 어떻게 규제하는지까지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국가 간 데이터 이전이란 무엇일까? 국가 간 데이터 이전(Global Data Transfer)이란 개인정보나 사용자 데이터를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전송하거나 저장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 있는 웹사이트가 수집한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나 구매 기록을 미국, 일본, 유럽 등 다른 나라에 있는 서버로 전송하거나 저장하면 이것이 바로 데이터 이전입니다. 과거에는 이런 데이터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웠지만, 개인정보 유출, 정부 감시, 사이버 공격 등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각국.. 2025. 4. 28.
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할 때 개인정보법을 지역별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글로벌 사이트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방문자의 위치에 따라 적용되는 개인정보법은 달라집니다. 본 글에서는 GDPR, CCPA, LGPD, APPI 등 주요 지역별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을 비교하고, 실무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 전략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왜 지역별 개인정보보호법을 구분해야 할까요? 웹사이트나 블로그는 한 국가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특히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Shopify 등 글로벌 플랫폼을 활용하는 경우, 내가 타겟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국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들이 생깁니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국가별 개인정보보호법의 차이입니다.GDPR(유럽), CCPA(미국), LGPD(브라질), APPI(일본) 등 각국의 법률은 공통된 원칙(동의, 고지, 열람권 등)을 가지면서도 적용 .. 2025. 4. 26.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APPI)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APPI)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먼저 제정된 프라이버시 법률로, GDPR과 유사한 요소와 독자적인 구조를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APPI의 핵심 개념, 운영자 대응 포인트, 그리고 국내 사이트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정리합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본 글에서는 일본의 개인정보 보호법을 다루며, 국가별 법률 명칭이 유사하여 혼동을 줄 수 있는 점을 고려해 다음과 같이 약어 사용 기준을 명확히 안내드립니다.APPI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일본의 개인정보 보호법을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일본 내에서는 간혹 ‘PIPA’로도 표현되지만, 타국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 글에서는 ‘APPI’라는 정식 약어를 사용합니다... 2025. 4. 25.
브라질 LGPD는 무엇일까? GDPR과 얼마나 닮았을까? 브라질의 개인정보보호법인 LGPD는 GDPR을 본떠 제정된 법률로, 라틴아메리카 전역의 프라이버시 기준을 새롭게 정립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LGPD의 주요 내용, GDPR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글로벌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중요한 실무 포인트까지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LGPD란? 브라질의 개인정보보호법 핵심 요약 LGPD는 Lei Geral de Proteção de Dados의 약자로, 직역하면 브라질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입니다. 2018년에 제정되고, 2020년 9월부터 본격 시행된 이 법은 브라질 전역에 통합된 개인정보보호 기준을 적용하는 최초의 전면 법률이며,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프라이버시 보호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받습니다. LGPD는 브라질 국민뿐 아니라 브라질 내에서 발.. 2025. 4. 25.
미국 CCPA는 뭐가 다를까? 캘리포니아 개인정보보호법 쉽게 정리 메타 설명 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법(CCPA)은 미국 내에서도 가장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법 중 하나입니다. 본 글에서는 CCPA의 핵심 개념, GDPR과의 차이점, 실무 대응 포인트를 쉽고 자세하게 안내합니다. CCPA란? 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법의 핵심 이해 CCPA는 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법) 의 약자로, 2018년 제정되고 2020년부터 본격 시행된 미국 최초의 종합 개인정보 보호법입니다. 이 법은 캘리포니아 주민의 개인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소비자의 권리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여부 및 항목을 사전에 알 권리 수집된 정보를 열람할 권리 수집·판매된 정보를 삭제 요청할 권리 .. 2025.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