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
-
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할 때 개인정보법을 지역별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글로벌 사이트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방문자의 위치에 따라 적용되는 개인정보법은 달라집니다. 본 글에서는 GDPR, CCPA, LGPD, PIPA 등 주요 지역별 개인정보보호법의 특징을 비교하고, 실무적으로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 전략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왜 지역별 개인정보보호법을 구분해야 할까요?웹사이트나 블로그는 한 국가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특히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Shopify 등 글로벌 플랫폼을 활용하는 경우, 내가 타겟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국가에서 접속하는 사용자들이 생깁니다.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국가별 개인정보보호법의 차이입니다.GDPR(유럽), CCPA(미국), LGPD(브라질), PIPA(일본) 등 각국의 법률은 공통된 원칙(동의, 고지, 열람권 등)을 가지면서도 적용 범위..
12:29:15 -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PIPA)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PIPA)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먼저 제정된 프라이버시 법률로, GDPR과 유사한 요소와 독자적인 구조를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PIPA의 핵심 개념, 운영자 대응 포인트, 그리고 국내 사이트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정리합니다.PIPA란? 일본 개인정보보호법의 시작과 발전PIPA는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의 약자로, 일본 정부가 2003년에 제정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종합법입니다. 아시아권에서는 가장 먼저 통합형 개인정보보호법을 도입한 국가로, 일본 정부는 이후 GDPR의 영향을 받아 PIPA를 수차례 개정하며 글로벌 수준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준을 갖추는 데 집중해 왔습니다. 2022년 개정을 통해 PIPA는 다음과 같은 핵심 권..
2025.04.25 -
브라질 LGPD는 무엇일까? GDPR과 얼마나 닮았을까?
브라질의 개인정보보호법인 LGPD는 GDPR을 본떠 제정된 법률로, 라틴아메리카 전역의 프라이버시 기준을 새롭게 정립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LGPD의 주요 내용, GDPR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글로벌 웹사이트 운영자에게 중요한 실무 포인트까지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LGPD란? 브라질의 개인정보보호법 핵심 요약 LGPD는 Lei Geral de Proteção de Dados의 약자로, 직역하면 브라질 일반 개인정보 보호법입니다. 2018년에 제정되고, 2020년 9월부터 본격 시행된 이 법은 브라질 전역에 통합된 개인정보보호 기준을 적용하는 최초의 전면 법률이며,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프라이버시 보호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받습니다. LGPD는 브라질 국민뿐 아니라 브라질 내에서 발..
2025.04.25 -
미국 CCPA는 뭐가 다를까? 캘리포니아 개인정보보호법 쉽게 정리
메타 설명 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법(CCPA)은 미국 내에서도 가장 강력한 개인정보 보호법 중 하나입니다. 본 글에서는 CCPA의 핵심 개념, GDPR과의 차이점, 실무 대응 포인트를 쉽고 자세하게 안내합니다. CCPA란? 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법의 핵심 이해 CCPA는 California Consumer Privacy Act(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법) 의 약자로, 2018년 제정되고 2020년부터 본격 시행된 미국 최초의 종합 개인정보 보호법입니다. 이 법은 캘리포니아 주민의 개인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소비자의 권리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여부 및 항목을 사전에 알 권리 수집된 정보를 열람할 권리 수집·판매된 정보를 삭제 요청할 권리 ..
2025.04.25 -
티스토리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통합 예시 템플릿 공개
티스토리 개인정보처리방침 + 쿠키 정책, 왜 꼭 필요할까?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구글 애드센스 승인을 신청하려면 반드시 갖춰야 할 기본 조건 중 하나가 바로 개인정보처리방침과 쿠키 정책 고지입니다. 이 문서들은 단순히 형식적인 안내가 아니라, 사이트 방문자에게 “이 블로그는 어떤 정보를 수집하고,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명확히 공개하는 법적 고지문이자 신뢰 확보 장치입니다. 구글은 애드센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쿠키와 추적 기술을 활용합니다. 따라서 방문자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블로그라면 반드시 사용자에게 수집 사실을 고지하고, 선택권을 제공해야 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는 워드프레스처럼 플러그인을 활용하기 어렵고, 별도의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HTM..
2025.04.24 -
쿠키 정책(Cookie Policy)과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차이점은? 헷갈리지 않도록 쉽게 정리 해보자
쿠키 정책과 개인정보처리방침은 비슷해 보이지만, 목적과 구성, 법적 요구사항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이트 운영자가 두 문서를 구분해 작성하고 게시할 수 있도록 개념부터 예시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쿠키 정책이란? Cookie Policy의 정의와 역할쿠키 정책(Cookie Policy)은 웹사이트가 사용자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cookie)의 사용 목적, 수집 항목, 저장 기간, 제3자 쿠키 사용 여부 등을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쿠키는 웹사이트 운영자가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주 활용되는 도구로, 사용자의 디지털 활동을 추적하고 데이터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담은 상품을 기억하거나, 사이트 접속 시 자동 로그인 기..
2025.04.24